
권오흠 교수님의 알고리즘 강좌를 보던 중에 문자열을 받아서 그것을 한 글자씩 Recursion 을 이용해 출력해내는 부분이 있었다. (아래처럼) 아 일단 프로그래밍을 Swift 로 시작했기 때문에 Java 를 전혀 모른다. 그래서 코드를 볼 때마다 새로운 것이 나오면 그것을 다시 구글링해서 어떤 내용인지 찾아보고 다시 Swift 엔 이와 비슷한 것이 무엇인지 찾아봐야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. 아니 그래서 이 하소연을 하는 이유는 이제 나와 같은 문제를 겪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에 쓰는 포스팅이라는 것이다. ... 아무튼, 이 코드를 똑같이 구현해보기 위해서 일단 어차피 한 글자씩만 나오면 되는 거니까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다. 문자열을 뭐로 넣어줄까 싶다가 갑자기 프렌치 감성으로 Bonjour 를 ..

Source : The Swift Programming Language (Swift 5.1 beta) Generics 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Generic code 는 여러분이 정의한 필요조건에 따라 어떤 타입에서도 작동 가능한 유연하면서도 재사용 가능한 함수와 타입을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여러분은 중복을 피하고 의도를 명확하고 추상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겁니다. Generics 는 스위프트의 가장 강력한 기능들 중 하나이며 많은 Swift standard library 가 generic code 로 작성되어 있어요. 사실상 여러분은 제네릭을 사용해 오고 있었어요 다만 알지 못했을 뿐이죠. 예를 들어볼까요? 우리는 Array 와 Dictionary 를 스위프트..

Swift gives you a tool called Binding, which is great for passing read/write derived values. And technically any constant can serve as a perfectly good read-only Source of Truth as we saw with the test data driving our previews. Now there's one more I want to call out, and I mentioned a second ago that collectively your state variables and your model constitute the Sourc..

WWDC의 프리젠테이션은 공식 행사 답게,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 Apple 엔지니어들의 발표는 Listening 과 pronunciation 연습에 도움이 된다. 그래서 요즘 개발공부와 함께 영어공부도 하고 있기에 이번 영상을 열심히 시청해보기로 했다. Apple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상은 Subtitle 과 Script 를 제공하므로, 공부하기에 비교적 용이했다. 각설하고, 바로 들어가보자. 이 세션은 Apple 의 SwiftUI Engineer 인 Jacob 과 Kyle 이 순서를 바꿔가며 발표를 진행한다. 먼저 Jacob 이 발표를 진행했다. 영상을 보면서 표시해두었던 발표 멘트를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. 좋은 내용들이 더 많은데 텍스트로는 설명이 어려워서 생략된 부분도 있다. 좋은건 나눠..

1. La quantité indéterminée * Les articles partitifs du, de la, de l' des ex. Je mange du pain. / Je mange de la viande. Je bois des jus de fruits. / Je bois de l’eau. 보충 ! 부분관사 • 전치사 de + 정관사 le = ‘du’ 와 혼동하지 말 것. • 부분관사는 일종의 부정관사라고도 할 수 있다. 그런데 부정관사 un, une는 본래 의 뜻을 가진 수사 un, une에서 온 말이다. 그러므로 셀 수 없는 명사 앞에서는 부정관사를 쓸 수 없고, 그 대신 라 는 뜻을 포함한 이 부분관사를 쓰는 것이다. 즉 수가 문제되지 않고 양이 문제되는 경우에 이 부분관사를 쓴 다. 예를..

1. À + article : au, à la, à l', aux *à + le (masculin singulier) -> au ex. Je suis au festival *à + la (féminin singulier) -> pas de changement ex. J'arrive à la gare du Nord. *à + l' (masculin ou féminin singulier) -> pas de changement ex. Tu ne vas pas à l'hôtel / à l'université. *à + les (masculin ou féminin pluriel) -> aux ex. Rendez-vous aux > de la gare. 2. L'impératif des verbes en -er (..
1. Conjugaison : Le verbe ‘avoir’ Indicatif présent : J’ai / Tu as / Il a / Nous avons / Vous avez / Ils ont Le verbe ‘avoir’ a trois emplois ⓵ Possession · J’ai un enfant. · J’ai une voiture ⓶ Âge · J’ai 20 ans. ⓷ état physique · J’ai soif · J’ai froid 2. L'adjectif possessif : mon, ton, son, ma, ta, sa, mes, tes, ses Mon / Ma Mes Ton / Ta Tes Son / Sa Ses - 모음 앞에서, ma, ta, sa는 mon, ton, son이 된..
Grammaire et Expressions 1-1. L'interrogation affirmation / interrogation : Tu aimes la danse. / Tu aimes la danse? * Pour poser une question, on change l'intonation. * On utilise aussi est-ce que : Est-ce que tu aimes la danse ? 1-2. L'interrogation Vous vous appelez comment ? → Je m'appelle Jean Lapierre. Vous habitez où ? → J'habite à Paris. Qu'est-ce que vous faites dans la vie ? → Je suis i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타입
- Operator
- 딕셔너리
- 패스트캠퍼스
- 스위프트
- 개발스쿨
- swiftUI
- 프로그래밍
- 튜플
- fastcampus
- OOP
- ARC
- ios
- 열거형
- var
- 컨버전
- GCD
- 깃허브
- iOS개발스쿨
- function
- 패캠
- array
- 리터럴
- Swift
- tca
- lifecycle
- commit
- fallthrough
- inswag
- Dictionary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