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8. 7. 18 최초 작성 2019. 12. 1 실행 상태 추가 안녕하세요 :0 오늘의 주제는 앱의 생명 주기 (App Life Cycle) & 실행 상태(Execution State) 입니다. - 들어가기 전에, 개발자의 입장에서 왜 이 내용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. 1. 생명 주기를 파악함으로서 iOS의 전체적인 청사진(blueprint)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 2. 앱이 실행되기 전 혹은 후에 Event 를 주고 싶을 때 어디에 코드를 삽입해야 할 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 3. 신입 iOS 개발자로서 면접을 볼 때 질문으로 나올 수 있다 ! (요게 젤 핵심인것...)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, 위 그림의 화살표가 ..
iOS를 배우면서, 많이 보는 단어 Cocoa pods, Cocoa Touch, Framework 등등 도대체 이것들이 무슨 말인지 iOS 를 처음 배우는 저에겐 모든 것이 낯설었습니다. 그래서 여러가지를 찾아가며 공부해봤는데, 그것들 중 오늘은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! 위의 두 문장은 사실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. iOS용 앱을 만드는 방법은 앞으로 배워나갈 프레임워크 안에 모두 담겨 있다. 그러니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부해야겠다 !! Cocoa Touch Framework 의 내부에는 수 많은 프레임워크가 존재합니다. 물론,각각의 프레임워크 속에도 또 숨어있는 세부 프레임워크가 존재하죠. 결론적으로 이 두 프레임워크는 상당히 많은 부분을 공유..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bject-Oriented Programming) 1) 이론적 정의 -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)이란 캡슐화(Encapsulation), 다형성(Polymorphism), 상속(Inheritance)을 이용하여 코드 재 사용을 증가시키고, 유지보수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얻기 위해서 객체들을 연결시켜 프로그래밍 하는 것. - 단순한 데이터 처리 흐름에서 벗어나 각 역할을 지닌 객체(Object)들의 상호작용으로 동작. * 객체 : 데이터 (상태) + 메서드 (행위) - 객체란 무엇인가? * 존재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을 '객체'(Object) 라고 한다. 무형이나 유형의 개념까지의 모든 존재를 객체라고 볼 수 있다. * OOP 관점에서 보면 객체는 데이터와 함수를 속성(데이터)과..
집단 자료형 - 딕셔너리(Collection Type - Dictionary) 1) 이론적 정의 1. Swift 에서 사용되는 집단 자료형으로는 배열(Array) , 집합(Set) , 딕셔너리(Dictionnary) 가 있다. 여기서는 딕셔너리에 대해 알아보자. 2) 딕셔너리(Dictionary) 1. 자료형 내 각 요소마다 고유한 키와 그 키에 대한 값을 가지는 자료형 (Element = Unique Key + Value) 2. 순서가 없는 집단 자료형 (Unordered Collection) * Example 1-1. 딕셔너리의 선언과 초기화 1) var dictFromLiteral = ["key 1": "value 1", "key 2": "value 2"] --> 딕셔너리의 선언 예시. 2) var..
집단 자료형 - 집합(Collection Type - Set) 1) 이론적 정의 1. Swift 에서 사용되는 집단 자료형으로는 배열(Array) , 집합(Set) , 딕셔너리(Dictionnary) 가 있다. 여기서는 집합에 대해 알아보자. 2) 집합(Set) 1. 순서가 없는 Collection (Unordered) 2. 고유한 값 (Unique Value) = 중복된 값을 가지지 않는다. * Example 1-1. 집합의 선언과 초기화 방법들 배열과 마찬가지로 집합도 다양하게 선언과 초기화를 할 수 있다. let fruitsSet: Set = ["Apple", "Orange", "Melon"] let numbers: Set = [1, 2, 3, 3, 3] let emptySet = Set() * E..
집단 자료형 - 배열(Collection Type - Array) 1) 이론적 정의 1. Swift 에서 사용되는 집단 자료형으로는 배열(Array) , 집합(Set) , 딕셔너리(Dictionnary) 가 있다. 여기서는 먼저 배열에 대해 알아보자. 2) 배열(Array) 1. '순서'가 있는 Collection. 2. '0' 에서 시작하는 정수 Index를 갖는다. * Example 1. 변수와 상수에 할당된 배열 var variableArray = [1, 2]variableArray = [ ]
열거형(Enumerations) 1) 이론적 정의 1. 하나의 주제로 연관된 데이터들이 멤버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형 객체 (정의 참고 : 꼼꼼한 재은씨의 Swift - 문법편) 2. 연관된 값의 그룹(타입)에 대해 공통 타입을 정의한 뒤, 타입을 안전하게 함으로서 해당 값들을 사용 가능 2) 문법적 정의 enum name { definition} * Reference. 열거형 값 네이밍 방법. * PascalCase 사용 = 첫글자를 대문자로 * 각 case는 camelCase 사용 = 첫글자를 소문자로 3) Examples * Example 1-1. 기본 정의 방법 + 네이밍 방법 적용 enum SomeEnumeration { // case definition} * Example 1-2. case 네이..
제어 전달문(Control Transfer Statement) 1) 이론적 정의 - 특정 코드에서 다른 코드로 제어를 이전하여 코드 실행 순서를 변경하는 것 - Swift 에서는 5가지 키워드 사용. 2) 문법적 정의 1. continue 2. break 3. fallthrough * 조건문 파트에서 다루고 있으니 확인하시면 됩니다. 4. throw * 따로 다룰 예정 5. return * 함수 참고 2-1) Continue - Continue 는 구문 아래에 있는 실행 구문들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을 시작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. - Continue 뜻 자체가 '계속하다' 라는 뜻임을 잘 기억하자. e.g. Continue for num in 0...8 { if num % 2 == 0 { continue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commit
- 프로그래밍
- iOS개발스쿨
- 리터럴
- var
- 패캠
- ios
- 열거형
- 타입
- Operator
- Swift
- 패스트캠퍼스
- ARC
- fastcampus
- 스위프트
- 딕셔너리
- 개발스쿨
- lifecycle
- OOP
- 튜플
- fallthrough
- function
- tca
- swiftUI
- GCD
- 컨버전
- inswag
- 깃허브
- array
- Dictionary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